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방명록
  • 목차 (280)
    • 2. 건축가 다이어리 (4)
      • 영국에서 건축하기 (4)
    • 3. Letters (33)
      • 마음의 소리 (33)
    • 4. 알고 보면 쉬운 건축학 (0)
      • 건축학 콘서트 (0)
    • 5. 유럽 생활 정보 (207)
      • 영국 정착, 이민 (9)
      • 이탈리아 유학 (196)
    • 6. 공부 방법론 (35)
      • 공부 방법론 (35)
    • 7. 기타 (1)
      • IT (1)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목차

  • [공유] (오르비 백업) [영어,국어] 속발음(sub-vocalization)이란 무엇인가? 속발음의 모든 것

    2020.04.28 by Andrea.

  •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의 연결어(I connettivi) 요약

    2020.04.28 by Andrea.

  • [이탈리아어] 보네타가 써준 이탈리아어 필기체

    2020.04.28 by Andrea.

  • [이탈리아 유학] 밀라노공대 입시 전형에 대한 당부

    2020.04.28 by Andrea.

  • [이탈리아어] 왜 나는 이탈리아어가 들리지 않는가? :수업 녹음과 친구 실험

    2020.04.27 by Andrea.

  • [이탈리아어] 영어의 억양, 이탈리아어의 리듬?? 없인 원어민은 이해하지 못하더라

    2020.04.27 by Andrea.

  • 어휘량에 대한 고찰: 여자 친구를 보며

    2020.04.27 by Andrea.

  • 어휘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3)- 사전으로 어휘 공부하기

    2020.04.27 by Andrea.

[공유] (오르비 백업) [영어,국어] 속발음(sub-vocalization)이란 무엇인가? 속발음의 모든 것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현자의돌 생활과윤리 모의고사 | 일환N현자의돌 https://blog.naver.com/cucuzz/220344239061 * 여기서 속발음은 묵독(sub-vocalization) 즉, '이 글을 속으로 소리내서 읽어보세요' 를 속으로 발음하면서 읽는 것을 의미합니다. 한편, 많은 수의 사람들이 글을 읽을 때, 이러한 속발음 없이 눈으로만 읽고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러한 분들을 대상으로한 글 입니다. [영어,국어] 속발음(sub-vocalization)이란 무엇인가? 속발음의 모든 것. 작성자: 원서읽는 Sam 원 작성 사이트: 오르비 옵티무스, orbi.kr 작성일: 2015년 4월 15일 ..

6. 공부 방법론/공부 방법론 2020. 4. 28. 05:13

[이탈리아어] 이탈리아어의 연결어(I connettivi) 요약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파란색은 특히 필자가 자주 만나는 연결어 Se vuoi INTRODURRE/PRESENTARE 1) Una RELAZIONE TEMPORALE: · quando – mentre – durante · prima – precedentemente – in precedenza – dapprima – già · contemporaneamente – allo stesso tempo · poi – successivamente – dopo di che – nel frattempo – in seguito – proseguendo · a partire da – fino a 2) Una CAUSA: · perc..

5. 유럽 생활 정보/이탈리아 유학 2020. 4. 28. 05:10

[이탈리아어] 보네타가 써준 이탈리아어 필기체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5.12.12 2년 전 처음 역학 수업을 듣을 때 필자는 한창 필기노트를 하는 이태리 학생들 사이에서 멍하니 칠판만 바라보고 있을 때가 있었다. 물리나 역학에 나오는 그리스 문자나 필기체 알파벳을 보고 무슨 약자인지 무슨 글씨인지 알 수가 없었다. 이탈리아에서는 의사가 써준 처방전을 약사가 읽지 못하는 사태가 다반사일 정도로 글씨를 함부로 쓴다. 필자에겐 학교에서 자기 노트의 자기 글씨를 못 해석하는 친구들을 보며 여전히 이 문제는 이해할 수 없는 미제이다. 당시 수업이 끝나고 먼저 내게와 자기가 알려주겠다며 각 알파벳을 일일히 친절히 써주고 간 파올로 베네타라는 한 여자애의 친절함이 기..

5. 유럽 생활 정보/이탈리아 유학 2020. 4. 28. 05:06

[이탈리아 유학] 밀라노공대 입시 전형에 대한 당부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5.12.6 밀라노공대 입학을 염두해 두시고 제 블로그를 방문해 주신 분들께 당부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번에 유독 다른 해에 비해 입학에 관한 질문이 많았습니다. 제가 지난달 워낙 바빴던지말 답을 기다리셨던 분들께는 심심한 사과의 말씀 드립니다. 네이버 이메일로 질문 주신 분들께는 이미 시간이 한참 지난 메일에도 이메일을 드렸습니다. ​ 본론으로 들어가면 이번에 입학 전형에 있어 확실히 2년 반 전인 제 때와는 바뀌었더군요. 그동안은 바뀌었을 거라는 가정에 꼭 학교 입학처를 통해 확인하라는 얘기를 강조했었는데 확실히 바뀐 정황들을 포착했습니다. 예를 들어 10월 쯤해서 보비자 캠퍼스는 완..

5. 유럽 생활 정보/이탈리아 유학 2020. 4. 28. 04:51

[이탈리아어] 왜 나는 이탈리아어가 들리지 않는가? :수업 녹음과 친구 실험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5.12.4 근래에 있었던 일에 대한 포스팅을 한다. 수업시간에 중요한 공지가 있었는데 교수님 말씀이 나는 분명히 들리지 않는데 원어민 친구들은 문제없이 들었다. 필자가 약간의 충격을 받기도 했고 또 그냥 넘어갈 수가 없어서 그 이유가 너무 궁금해서 했던 것들에 대한 자료이다. ​ 다음을 들어보자. ​ ​ 혹시 플레이어가 안된다면 포스트 상단에 음성 파일 2개를 첨부해 놓았다. 필자가 당시에 녹음을 한 것인데 오늘 얘기하고자할 부분만 따로 추출해서 '1. 추출'이라는 파일로 나누어 첨부했으니 이 1번 파일만 들어도 좋다. ​ 당시 상황은 수업이 막 시작하여 출석을 부르고 교수님께서 수업 ..

5. 유럽 생활 정보/이탈리아 유학 2020. 4. 27. 01:02

[이탈리아어] 영어의 억양, 이탈리아어의 리듬?? 없인 원어민은 이해하지 못하더라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2015.12.2 어제 비중있는 프레젠티이션이 있었다. 한달간 준비하고 마침내 어제 발표를 했다. 1900년대 초부터 2차 대전 전후로 유럽 건축복원학의 이론적 배경 변화와 추이를 분석하여 발표하고 그에 해당하는 복원 프로젝트 예를 조사하여 발표하는 것이였다. 크게 3가지 단계 였다. 1. 조사하고 분석하는 과정, 2. 정리하고 책으로 만들어 제출할 것, 3. 발표 외국인들에게 이런 류의 과제는 정말 어렵다. 다행히 조별 과제여서 1,2, 단계는 분업 하에 한달간 진행을 하고 3번을 준비하는게 문제였다. 두당 하나씩 예시 프로젝트를 맡아 앞에 나가 PT를 해야하는 상황이다. 그동안 건축프로젝트..

5. 유럽 생활 정보/이탈리아 유학 2020. 4. 27. 00:54

어휘량에 대한 고찰: 여자 친구를 보며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요즘 부쩍 '어휘'량에 대한 고민이 많은 이유는 현재 필자가 외국생활을 하는데 언어 실력 성장에 가장 큰 장벽이기 때문이다. 헬스 운동을 하면 초급 중급 상급 등으로 올라가면서 여러번의 정체기를 맞게 된다. 이 정체기를 어떻게 대응하고 처방하느냐에 따라 정체기 탈출과 함께 몸만들기의 최종 성공여부로 직결되기 때문이다. 우리가 '영어', '중국어' 등 언어라고 하는 것에는 몇가지 구성 분야가 있다. 문법, 어휘, 듣기, 쓰기 등등 문법을 먼저 얘기해보자. 문법은 단어들을 배열하는 규칙이다. 그리고 그것은 양이 정해져 있다. 영어 문법책을 보더라도 보통 많아야 상,하 권으로 이루어져 있고 대부분 ..

6. 공부 방법론/공부 방법론 2020. 4. 27. 00:43

어휘의 한계를 극복할 방법(3)- 사전으로 어휘 공부하기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필자가 한 주 사전으로 어휘 공부를 해보았다. 그런데 발견 되는 문제가 있었다. 큰 문제는 불필요한 단어가 너무 많은데 이를 선별해 암기할 방법이 외국인 학습자에게는 없다는 것이다. 한국외대 사전을 무작위로 펼쳐 이탈리아 일반인 성인에게 물어보았는데 그들도 모르는 단어가 너무 많았다. 그들이 아는 단어도 있어도 잘 안쓰는 단어도 너무 많았다. 물론 단어를 많이 알면 자주 쓰이지 않더라도 어려운 글이나 논문을 읽을 때 도움이 될 수도 있겠지만 우리 외국어 학습자에게는 시간 대비 효율이 너무 중요하지 않은가? 하지만, 이 단어들이 자주 쓰이는지 자주 안쓰이는지를 알 방법이 없다. 한국의 입시학원처..

6. 공부 방법론/공부 방법론 2020. 4. 27. 00:12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 3 4 5 6 7 8 9 ··· 35
다음
행복공작소
행복공작소 Designed by TK.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